본문 바로가기
생활

주택청약 소득 기준, 2인 가구와 3인 가구는 같을까?

by 반딧불정원 2025. 7. 10.
728x90
반응형

🏠 주택청약 소득 기준, 2인 가구와 3인 가구는 같을까?

“2인 가구와 3인 가구는 청약 소득 기준이 같나요?”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명확합니다. ❌ 절대 같지 않습니다.

정부는 매년 가구원 수별 ‘중위소득’을 고시하며, 이 기준을 바탕으로 청약 자격을 결정합니다. 즉, 같은 소득이라도 3인 가구는 자격이 되고, 2인 가구는 탈락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

주택청약 소득 기준, 2인 가구와 3인 가구는 같을까?

✅ 왜 가구원 수별로 소득 기준이 다를까?

정부가 발표하는 중위소득은 ‘모든 가구의 소득 중간값’을 의미합니다. 생활비, 주거비 등 지출이 더 많은 가구일수록 중위소득 기준도 높게 설정되어 동일한 월소득이라도 **가구원이 많은 쪽이 상대적으로 ‘소득이 낮다’고 평가됩니다.**

📊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(보건복지부 고시)

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% 중위소득 130%
2인 가구 3,639,000원 4,730,000원
3인 가구 4,696,000원 6,105,000원

🏡 청약 유형별 소득 상한 정리표

청약 유형 적용 기준 2인 가구 상한 3인 가구 상한
신혼부부 특별공급 중위소득 130% 4,730,000원 6,105,000원
생애최초 특별공급 중위소득 130% 4,730,000원 6,105,000원
국민주택 일반공급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00% 변동 (약 400~430만원대) 변동 (약 500만원대)

🧮 마이홈 소득 계산기 사용법

정부의 마이홈 포털에서는 청약 신청 전 본인의 가구원 수와 월 소득을 입력해 정확하게 청약 자격을 확인할 수 있는 ‘소득 기준 확인 계산기’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
💡 사용 방법

  1. 마이홈 포털 접속 → 청약가이드 메뉴 클릭
  2. ‘소득·자산 기준 확인’ 메뉴 선택
  3. 가구원 수, 세전 월소득, 신청 유형 입력
  4. 자동 계산으로 청약 가능 여부 확인

👉 계산기는 실제 ‘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’ 및 ‘중위소득’ 기준을 반영하므로 매년 고시된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뢰도 높은 결과를 보여줍니다.

반응형

🔍 생애최초 vs 신혼부부 특별공급 비교

구분 생애최초 특별공급 신혼부부 특별공급
자격 조건 주택 소유 이력 없는 자 + 근로소득자 혼인 7년 이내 또는 예비 신혼부부
소득 기준 중위소득 130% 이하 (유형에 따라 상이) 중위소득 130% 이하 (민영 기준 160%)
우선공급 여부 없음 유자녀 우선 공급 있음
가점 적용 가점제 적용 안 함 가점제 일부 적용 (민영)
전용면적 주로 85㎡ 이하 주로 85㎡ 이하

📌 관련 사이트

기관 제공 정보 링크
마이홈 포털 청약 계산기, 자격조회 https://www.myhome.go.kr
LH 청약센터 공공분양 접수 및 일정 https://apply.lh.or.kr
보건복지부 중위소득 공식 고시 자료 https://www.mohw.go.kr

🔚 마무리

주택청약의 소득 기준은 가구원 수에 따라 명확히 다릅니다. 단순히 “월 500만 원이면 가능하겠지”라는 생각은 위험합니다.

청약 신청 전엔 꼭 본인의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하고, 정확한 기준표나 계산기를 활용해야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.

특히 신혼부부 특별공급생애최초 특별공급처럼 소득 기준이 핵심 자격 조건인 유형은 철저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.

 

2025.07.10 - [생활] - 정차 중 에어컨 오래 켜도 될까? 배터리·연비·법까지 완전 정리!
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