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🏠 주택청약 소득 기준, 2인 가구와 3인 가구는 같을까?
“2인 가구와 3인 가구는 청약 소득 기준이 같나요?”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명확합니다. ❌ 절대 같지 않습니다.
정부는 매년 가구원 수별 ‘중위소득’을 고시하며, 이 기준을 바탕으로 청약 자격을 결정합니다. 즉, 같은 소득이라도 3인 가구는 자격이 되고, 2인 가구는 탈락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
✅ 왜 가구원 수별로 소득 기준이 다를까?
정부가 발표하는 중위소득은 ‘모든 가구의 소득 중간값’을 의미합니다. 생활비, 주거비 등 지출이 더 많은 가구일수록 중위소득 기준도 높게 설정되어 동일한 월소득이라도 **가구원이 많은 쪽이 상대적으로 ‘소득이 낮다’고 평가됩니다.**
📊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(보건복지부 고시)
가구원 수 | 중위소득 100% | 중위소득 130% |
---|---|---|
2인 가구 | 3,639,000원 | 4,730,000원 |
3인 가구 | 4,696,000원 | 6,105,000원 |
🏡 청약 유형별 소득 상한 정리표
청약 유형 | 적용 기준 | 2인 가구 상한 | 3인 가구 상한 |
---|---|---|---|
신혼부부 특별공급 | 중위소득 130% | 4,730,000원 | 6,105,000원 |
생애최초 특별공급 | 중위소득 130% | 4,730,000원 | 6,105,000원 |
국민주택 일반공급 |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00% | 변동 (약 400~430만원대) | 변동 (약 500만원대) |
🧮 마이홈 소득 계산기 사용법
정부의 마이홈 포털에서는 청약 신청 전 본인의 가구원 수와 월 소득을 입력해 정확하게 청약 자격을 확인할 수 있는 ‘소득 기준 확인 계산기’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💡 사용 방법
- 마이홈 포털 접속 → 청약가이드 메뉴 클릭
- ‘소득·자산 기준 확인’ 메뉴 선택
- 가구원 수, 세전 월소득, 신청 유형 입력
- 자동 계산으로 청약 가능 여부 확인
👉 계산기는 실제 ‘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’ 및 ‘중위소득’ 기준을 반영하므로 매년 고시된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뢰도 높은 결과를 보여줍니다.
반응형
🔍 생애최초 vs 신혼부부 특별공급 비교
구분 | 생애최초 특별공급 | 신혼부부 특별공급 |
---|---|---|
자격 조건 | 주택 소유 이력 없는 자 + 근로소득자 | 혼인 7년 이내 또는 예비 신혼부부 |
소득 기준 | 중위소득 130% 이하 (유형에 따라 상이) | 중위소득 130% 이하 (민영 기준 160%) |
우선공급 여부 | 없음 | 유자녀 우선 공급 있음 |
가점 적용 | 가점제 적용 안 함 | 가점제 일부 적용 (민영) |
전용면적 | 주로 85㎡ 이하 | 주로 85㎡ 이하 |
📌 관련 사이트
기관 | 제공 정보 | 링크 |
---|---|---|
마이홈 포털 | 청약 계산기, 자격조회 | https://www.myhome.go.kr |
LH 청약센터 | 공공분양 접수 및 일정 | https://apply.lh.or.kr |
보건복지부 | 중위소득 공식 고시 자료 | https://www.mohw.go.kr |
🔚 마무리
주택청약의 소득 기준은 가구원 수에 따라 명확히 다릅니다. 단순히 “월 500만 원이면 가능하겠지”라는 생각은 위험합니다.
청약 신청 전엔 꼭 본인의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하고, 정확한 기준표나 계산기를 활용해야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.
특히 신혼부부 특별공급과 생애최초 특별공급처럼 소득 기준이 핵심 자격 조건인 유형은 철저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.
728x90
반응형
LIST
'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차 중 에어컨 오래 켜도 될까? 배터리·연비·법까지 완전 정리! (55) | 2025.07.10 |
---|---|
뱃살을 복근으로! 레그 레이즈 & 토 탭 운동법 총정리 (68) | 2025.07.10 |
장수인들 “채소 아닌 이것 특히 챙겨먹었다” 꼭 드세요 (46) | 2025.07.10 |
전기세는 소득공제가 안 된다? 진실과 예외 정리 (50) | 2025.07.09 |
건강보험료 덜 낼 수 있는 방법, 진짜 있을까? (41) | 2025.07.09 |